100만 조회수 콘텐츠 기획부터 제작까지 A to Z 안녕하세요. 님,
하이아웃풋클럽 마케터 와니입니다.
혹시 콘텐츠를 만들면서 '얼굴 노출'에 대한 걱정을 해보신 적 있을까요?
저 또한 그랬는데요.
콘텐츠 마케터로 일하면서도 SNS에서 제 얼굴을 한 번도 보여준 적이 없었어요.
개인 계정에서조차 얼굴 사진 하나 안 올렸던 제가 '이러다가는 아무것도 바뀌지 않겠다' 싶어서 지난 5월에 용기를 내보았습니다.
츠타야 서점의 기획자 마스다 무네아키가 "같은 일을 반복해서는 성장도 없다"고 했던 것처럼, 정말 똑같은 것만 반복하다 보면 현상 유지는커녕 퇴보하기 쉽더라고요.
그래서 팀원들과 의기투합해서 '제가 직접 나서는' 콘텐츠를 기획하고 만들게 되었습니다.
이번 콘텐츠에는 제가 고민하고 시도했던 모든 과정과 그 속에서 얻은 인사이트를 담아보았어요.
항상 새로운 콘텐츠를 만들면서 비즈니스 성장에 도움이 되길 바라는 분들께 작은 영감이 되었으면 합니다.
|
|
|
1. 릴스 100만 뷰를 만들기 위한 기획 및 목표 설정 |
|
|
대부분의 브랜드 계정들이 가지는 공통적인 문제는 ‘브랜드 계정이 하고 싶은 이야기’에 집중하다 보니, 전체적인 인게이지먼트(좋아요, 댓글, 공유, 저장 등의 지표)가 낮다는 점입니다.
인게이지먼트가 낮으면, 자연스럽게 공들여 만든 인터뷰 콘텐츠의 조회수나 도달 수도 낮게 나올 수밖에 없었죠.
그래서 아래와 같이 변화를 시도해 보았습니다. |
|
|
그동안 다소 안전한 주제나 형식을 고수했던 저의 패턴을 깨고, 직접 등장하는 릴스를 만들기로 결심했습니다.
단순히 조회수를 높이는 것을 넘어, 이 과정을 통해 릴스 콘텐츠의 기획, 제작, 그리고 알고리즘 분석까지 철저히 연구하여, 이를 멤버들과 공유하고 새로운 인사이트를 도출하는 것을 목표로 삼았습니다. |
|
|
이 질문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해, 저는 인스타그램과 틱톡을 비롯한 다양한 플랫폼에서 사람들이 열광하는 릴스를 찾아보기 시작했습니다.
가장 먼저 한 일은 인기 있는 릴스들, 자주 피드에 보이고 있는 릴스들을 분석하는 것이었어요.
특히 최근 조회수가 높은 릴스는 어떤 주제와 형식을 가지고 있는지, 어떤 요소가 사람들의 관심을 끌었는지 세심히 살펴보았습니다.
수백 개의 릴스를 분석한 결과, 3가지 공통적인 특징이 보였습니다. |
|
|
첫째, 릴스의 첫 3초 안에 후킹 강렬한 시각적 자극이 있는 경우 |
|
|
- 섬네일에 강력한 후킹 문구 또는 밈(meme) 활용
|
|
|
둘째, 유머나 예상치 못한 반전이 있는 콘텐츠 |
|
|
- 항상 유머러스한 콘텐츠를 만들고 계신 소방관 삼촌님
- 가볍게 소비하는 숏폼 콘텐츠의 특성
|
|
|
- 정보 모음집, 혜택 안내를 매니챗(인스타 자동화 툴)으로 연계해서 인게이지먼트를 높이는 경우
아예 새로운 주제의 새로운 포맷을 찾기보다는 사람들은 ‘익숙한데 한 끗 다름’의 콘텐츠를 원하다는 걸 알 수 있었죠.
예컨대 이런 방식이었어요.
e.g 레퍼런스 콘텐츠: 무료 AI 도구 10가지 모음집
- 1인 사업가 / 프리랜서를 위한 AI 도구는 어떨까?
- 크리에이터를 위한 AI 도구 모음집은 어떨까?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저도 실험을 해보기로 했습니다.
사람들에게 익숙한 포맷을 벤치마킹하되, 그 안에 저만의 독특한 요소를 추가하여 “한 끗 다른” 콘텐츠를 만들고자 했습니다.
|
|
|
3. 100만 릴스, 도달과 조회수를 높이기 위한 콘텐츠 시도들 |
|
|
1. 예상치 못한 요소로 시작하기
사람들은 새로운 것, 놀라운 것에 반응합니다.
땅바닥에 구르는 제 모습(?)은 전형적이지 않았고, 멤버들의 열렬한 반응(?)과 더불어서 조회수를 올리는 데 역할을 했습니다.
이처럼 콘텐츠의 첫 3초는 그야말로 모든 것을 좌우합니다.
어떻게 하면 사람들이 화면을 스크롤하지 않고 멈추게 만들 수 있을지, 예상치 못한 상황이나 행동을 활용해보세요.
(때로는 이전의 나라면 절대 하지 않았을 행동을 해보는 것도 ‘콘텐츠’로서는 유의미한 시도가 됩니다!)
|
|
|
2. 유행하는 포맷을 내 것으로 만들기
릴스나 틱톡에서 유행하는 포맷을 벤치마킹하되, 그것을 자신만의 방식으로 재해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단순히 유행을 따르는 것만으로는 차별화가 어렵습니다. 저는 유행하는 포맷을 참고하면서 저만의 스토리와 감각을 더해 새롭게 표현하려고 노력했습니다.
10번의 시도 끝에 성공을 거두었고, 콘텐츠가 혼자 조회수를 끌어올리며 10만 조회수를 돌파할 때마다 팀원들과 함께 자축했습니다.
더 흥미로운 점은 5월 25일에 올린 릴스가 한 달이 지난 후에도 여전히 알고리즘을 타고 성장했다는 점인데요.
6월 27일에 100만 조회수를 달성했고, 6월 30일에는 138만 조회수를 기록했습니다.
그리고 7월 18일 기준으로는 178만 조회수까지 도달했죠. 10월 22일 기준으로는 234만 조회수를 기록한 콘텐츠가 되었습니다.
|
|
|
더 자세한 인사이트가 궁금하다면?
아래 블로그에서 확인해보세요! 👇 |
|
|
올해 마지막 기수 하이아웃풋클럽 19기 모집 안내 |
|
|
하이아웃풋클럽은 '내 것'을 하고 싶은 사람들의 성장을 돕는 온라인 교육 & 피어러닝 커뮤니티예요.
콘텐츠를 기반으로 협업, 이직, 수강생 증가 등 다양한 목표를 이뤄내고 있습니다.
2024년 올해 마지막 기수로 함께 하세요!
나만의 목표가 있고 제대로 해내보고 싶고, 성장해보고 싶다면?
올해 놓치면 안 되는 마지막 기회입니다!
하이아웃풋클럽은 무엇보다도 탁월한 동료들과 함께 공동창업자 수준의 피드백을 주고 받아 더 빠르게 성장할 수 있습니다. |
|
|
하이아웃풋클럽 highoutputclub.program@gmail.com 서울시 송파구 법원로 128, C동 1718호(문정역 SKV1)
|
|
|
|
|